Landing

환영합니다!

환영합니다.  첫 블로그를 만들어 봅니다.

첫 시작은 openAI의 GPT market 이 시범적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할 때 쯤이었습니다.

그 당시 맹자의 철학에 빠져 있었죠. 맹자의 철학이 대단한 이유는 현대의 우리에게도 맞는 내용이어서 고민하고 있는 부분이 맹자의 말씀에는 그 해답이 거의 다 있습니다. 정말입니다. 대단하신 분이죠. 그래서 ‘맹자의 가르침’이라는 GPT 를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맹자 도서를 무료로 다운로드 받는 곳을 찾아(중국어로 되어 있었습니다.) 다운로드 받은 후 그 자료를 업로드 하고 그 자료를 바탕으로 맹자가 말하듯이 질문에 답변하도록 프롬프트를 작성했습니다. 테스트를 몇 번 해가면서 다듬어서 만족스러운 답변이 만들어지게 했습니다. 혹시 시간이 되시는 분은 방문해서 지금의 고민을 상담받아 보세요. 놀랍도록 현실적인 답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그 때가 2024년 1월이었던 거 같습니다. 모든 IT 프로젝트가 아무 문제 없이 진행 될 수는 없지만 당시 참여하고 있던 프로젝트에서는 많은 생각을 하게 만들었습니다. ‘맹자의 가르침’을 만들면서 만약 맹자라면 나의 고민에 대해 어떻게 대답을 할까 생각하다가 질문들을 수집하게 됬고 이렇게 블로그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또 하나의 시작 이유가 있습니다. Vibe Coding 입니다.

아침마다 확인하는 IT 관련 기사에서 Vibe Coding이라는 단어를 보고 바로 도서를 구입하여 cursor를 통해 Vibe Coding을 경험했습니다.

Vibe Coding을 접하게 해준 book

충격적이었고 놀라웠고 그 확장성에 대한 기대로 가만히 있으면 안되겠다, 그래서 뭐라도 해야겠다라고 다짐했고 그 시작으로 이 블로그를 만들게 되었습니다.

< LANDING >
이 블로그의 기획을 마치고 블로그의 셋팅 및 디자인 과정에서 기록해야 할 내용들을 게재할 예정입니다. 안정화되면 글이 더 늘어나지는 않겠죠. 활발한 글 업로드가 되지 전까지의 기록이 될 거 같습니다.

< IT HISTORY OF TODAY >
chat GPT, Gemini 등을 통해 오늘의 IT 역사를 찾아 기사를 자동으로 만들고 다듬어 게시할 예정입니다.

< ESSAY >
지금까지 IT 프로젝트(주로 SI 프로젝트) 를 참여하면서 하나의 개발자로 또는 PL로서 느꼈던 글이나 같이 고민해보고 논의해 보고 싶은 내용등을 형식없이 산문으로 기록할 예정입니다.

< READ BOOK >
주말이면 도서관을 찾아가 IT 관련 책을 읽고 새로운 기술 또는 접하지 못한 기술들을 조금이라도 알아보려고 했습니다. 현재 살고 있는 경기도 군포시에서는 희망도서를 신청하면 그 책을 구매하여 대출해주는 제도가 있습니다. 보고 싶은 최신 책이 있으면 이 제도를 활용하여 쉽게 접할 수 있었습니다. 그 중에서 정말 유용하고 도움이 되었던 책에 대해 소개하는 페이지입니다.

< MOVIE TALK >
영화를 좋아해서 한 때는 한국영화가 개봉하면 무조건 극장으로 달려 가던 때가 있었습니다. 지금은 OTT에 빠져 거의 가지 않지만 (너무 비싸요) 그 동안 감동적으로 보았던 영화, 얘기를 하지 않으면 입이 근질근질한 영화들에 대해 스크립트 할 예정입니다.

< NOBLE >
영화 매트릭스와 최근 미션임파서블:파이널 레코닝을 보면서 AI가 세상 깊숙히 들어오게 되었을 때 어떻게 될까?라는 궁금증이 들었습니다. 충격적인 장면은 전편인 미션임파서블:데드 레코닝에서 AI의 협력자인 가브리엘이 찍힌 CCTV 영상을 실시간으로 AI가 지우는 장면입니다. 지금 아이폰과 갤럭시폰의 AI성능을 비교할 때 사진에서 필요한 사물만 지우는 기능의 정확도로 비교하고 있으니까요. 거기에 Vibe Coding이 접목되면 프로그램의 원소스도 AI가 직접 수정하는 시대입니다. 이제 몇 년 후면 사람이 아닌 AI가 범죄를 일으키게 되고 그 AI를 체포하여 없애는 경찰부서가 만들어져서 그들의 활약상이 펼쳐지는 이야기입니다. 기대해 주세요.

< AIX FRAMEWORK DEVELOPMENT >
chat GPT를 처음 접했을 때 새로운 세상에 대한 흥분으로 주변 동료와 많은 얘기를 했었습니다. 하지만, 검색 패러다임이 변할 거라는 거에서 더 이상 진전이 없었습니다. chat GPT 모델을 만들기 위해, 질문에 자연스러운 대답을 만들기 위해 소비하는 전력, 자원에 비하면 그 쓰임새는 사실 보잘 것 없습니다. 그러던 중, ‘AIX’라는 단어에 대해 듣게 되었습니다.

AIX !! 모든 것에 AI를 붙여 생각하라!

위 ESSAY 카테고리를 통해 몇 가지 현 IT 프로젝트의 문제점을 생각하게 되었고 프로젝트 개발방법론을 수정할 때가 도래했다고 판단했습니다. 또한, SPRING을 이용한 프로젝트 개발 프레임워크에 AI를 접목하여 프로젝트의 시작부터 통합테스트, 최종 감리 까지 모든 과정에서 신뢰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를 만들어 가는 과정을 기록할 예정입니다. 얼마나 걸릴지 모르지만 시작해 보겠습니다.

< ALT.IT.KR >
AIX FRAMEWORK를 개발하기 위한 소규모 모듈 테스트 페이지입니다. 예를 들어, 개발시 에러가 발생했을 때 개발자가 모니터에 표시된 에러 로그를 찍어 업로드 하면 분석 및 해결책을 알려주는 기능 등입니다. 소규모의 모듈을 개발 과정과 실제 구현하여 많은 개발자가 직접 체험해 볼 수 있게 할 URL입니다. 서버 구성 등은 이 곳에 할 지 아니면 별도의 서버로 구성 할지는 아직 고민 중입니다. 페이지가 열리면 많은 방문 부탁드립니다.

하나의 글을 쓰기에도 벅차지만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2025년 6월 14일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