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X Framework development

[Historybot 1화] CURSOR에서 Gemini CLI로 변경하다.

AX Framework 카테고리 첫 글을 읽으시는 여러분들께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AX Framework 카테고리는 소규모의 개발아이템을 찾아서 개발을 진행하며 그 기록을 남기는 곳입니다. 소규모의 프로젝트들은 최종적으로 AI를 통합한 AX Framework로 병합됩니다.

그 첫번째 프로젝트는 Historybot입니다.

사실, 이 프로젝트는 Landing 카테고리에서 이 블로그를 만드는 과정에서 글 자동 생성 플러그인을 도입했다가 배신을 당하고 직접 만들기 시작한 프로젝트입니다. Landing 6화에서 보여드렸지만 이곳에 처음 오시는 분들을 위해 PRD(Product Requirements Document) 를 공개합니다.

CURSOR를 사용하여 Phase5까지 완성 했습니다 그런데, 언제부턴가 CURSOR가 종량제로 바꼈습니다. 월 20달러를 지불하면 무제한으로 알고 있었는데, Phase2부터 5까지 오면서 20달러가 초과 됬습니다. 아무 생각 없이 사용하다가 훌쩍 넘어버렸고, 이미지까지 넣으려고 했는데, 그러다가는 50달러가 아니라 100달러까지 도달할 것 같았습니다.

바로 CURSOR 서비스를 종료했습니다. 그리고, 일단 Gemini CLI로 이후 개발을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CURSOR는 modify 된 전용 VSCODE를 사용해야 하지만, Gemini CLI는 간단한 Gemini CLI 설치 후 일반 VSCODE를 열고 터미널창에서 gemini를 입력하면 됩니다. 단점은, 한글 입력이 글자가 완성된 후에 입력되고 자주 끊기고 느립니다. 하지만, 무료인 점을 고려하면 이쯤은 감수해야 겠죠. 또, gemini 2.5 pro만의 장점도 있을 거라 믿습니다.

먼저, PRD와 process, 소스를 분석해서 나름대로 이후 계획을 세워 달라고 했습니다. 신기하게도 CURSOR가 세운 Phase6이후의 계획과 거의 동일했습니다. 일단, 그 전에 오늘 아침 6시로 스케쥴을 저장했는데, 역시나 글 생성이 되지 않았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 원인분석을 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

결과는, 워드프레스의 스케쥴링은 방문자가 있을 경우 스케쥴 설정 여부를 확인해서 실행을 한다고 합니다. 즉, 새벽 6시에 이벤트를 실행시킬 트리거가 없었던 거죠. 그래서, 서버에 1분 간격으로 스케쥴을 확인하는 명령어를 실행하라고 하면서 명령어도 알려 주더군요. 서버에 ssh접속해서 실행했습니다. 확인 방법은 로그를 보라고 하는데, 1분마다 Ninja Firewall이라는 플러그인 호출은 하고 있는데, 정작 historybot 호출은 없었습니다. 스케쥴링은 포기할까 합니다.

더 중요한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생성된 글들이 모두 사실과 다른 내용이었습니다. 생성된 글을 gemini 에게 그대로 보여줬더니 사실과는 너무 다르다고 하네요. 그 이유도 설명해 줬는데 이 부분은 어느 정도 해결한 후에 다시 게시하겠습니다. 참고로 이번에 생성된 historybot 대시보드 캡쳐 보여드리겠습니다.

=> [historybot 2화]로 이어집니다. AI의 환각과 겨루다.

답글 남기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